본문 바로가기
하다/(주식)하다

인모드 주식 PER PBR EPS 배당 유동비율 알아보자

by goorm 2022. 9. 16.
반응형

조금씩 주식 공부를 하고 있는 주린이 아니 주식 아마추어, 주마추어입니다. *린이 단어는 어린이를 비하하는 뜻이 되기 때문에 쓰지 말라는 권고가 있더라고요. ^^

 

인모드란 회사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가정용 인모드 기기인 실큰 페이스스타트를 써보고 효과가 좋았기 때문입니다. 주식으로 500억 이상을 만들어 유명해진 슈퍼개미 김봉수 카이스트 교수님의 인터뷰를 보니 자신이 직접 써 보았을 때 좋았던 제품이나 기업의 주식, 또는 관련 주식에 투자를 한다고 하더군요. 일단 가정용 인모드라는 기술의 효과를 스스로 체험하였고, 피부과에서 받을 수 있는 고출력 인모드는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이 또한 후기를 찾아보니 효과가 좋은 편이라고 합니다. 실큰은 인모드의 계열사이기도 합니다. 

 

제가 주식을 판단할 때 요즘 사용하는 기준은 두 가지인데요.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중 보수적 투자자를 위한 7가지 지표들입니다.

또 하나는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으로 50억 만들기에 달성한 전 동양미래대 최성락 교수의 2020투자법입니다. 매출과 순이익이 년 20%씩 3년간 늘은 회사의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인데요. 이 방식에 따라 인모드 주식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매출과 순이익을 보겠습니다. 

 

 

 

매출과 순이익 모두 2018년 이후로 20% 이상씩 상승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이런 경우가 쉽게 나오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제가 다우지수에 포함된 기업 30곳 포함해 현재 총 50개 정도의 기업의 매출과 순이익을 보았는데 20% 3년간 상승한 곳은 인모드와 카카오,마이크로소프트가 전부였습니다. 그런데 카카오는 이후 카카오페이,카카오게임즈 등으로 회사가 쪼개지고 있어 카카오 주식을 살 때 이전 매출과 순이익을 적용시키는 것이 유효한지 잘 판단이 서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회사가 쪼개지면 매출과 이익도 나누어질테니까요. 이 부분 잘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 좀 부탁드립니다. 

아무튼 제가 주식 글로 인모드를 처음 쓰는 것도 이 이유때문입니다. 카카오도 위의 이유로  제외하면 제가 본 약 50개 기업 중 유일하게 2020법을 통과한 회사니까요. 

 

다음으로는 ‘현명한 투자자’에 나오는 보수적 투자자를 위한 7가지 지침에 따른 분석을 보겠습니다. 참고로 벤자민 그레이엄은 7가지 전부 충족시키는 회사의 주식을 사기를 권고하고 있는데요. 이게 예전에 쓰여진 책이다보니 기준을 좀 완화시켜서 적용해야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책에서 이 기준으로 다우지수 편입 30개 기업 분석시에는 충족 회사가 7개 정도였는데 제가 해보니 겨우 2-3개 기업이 기준을 통과합니다. 




PER 15 이하 배당 유동비율 2 이상 장기부채/순유동자산 4년간 흑자 PBR1.5이하(주당순자산비율) EPS 0.33 이상(주당순이익)
X(16.23) X O(8.7%) O O X5.71 O(2%)




총 7가지 기준 중에서 충족되는 기준은 4개입니다. 저는 PER가 기준인 15에 가까웠던 지난 6,7월에는 인모드 주식을 약간 구입해서 수익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7가지 기준을 전부 충족하지는 못했지만 2020 투자법의 기준은 통과했으므로 당분간 가져가 볼 생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