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 조금 있으면 꽃 피는 계절 봄이 다가오는데요. 아무래도 봄이 되면 겨우내 미루어 두었던 예식을 올리시는 예비 신랑 신부님들이 많이 계실 듯 해요. 결혼 준비는 일생일대의 이벤트로 준비하고 결정해야 할 것들이 정말 끝도 없는데요. 그 중 상견례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과정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양가 부모님이 처음 서로를 뵙는 자리이기 때문에 무척 어렵고도 긴장될 수 밖에 없는데요. 그렇기에 미리 예비 신랑신부가 준비를 제대로 해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견례 준비시에는 일단 식사 장소가 제일 우선일텐데요. 보통 메뉴가 적은 가격이 아니기 때문에 비용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 지도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상견례 예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으니 잘 읽어보시고 중요한 자리 잘 치루시길 바라겠습니다.
1. 상견례 비용 부담은 누가
식사는 보통 1인당 5만원선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양가 부모님과 예비 부부에 그 외 가족까지 있다면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미리 합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요. 부모님들까지 함께 상의하실 필요는 없고, 예비 부부 둘이서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부모님을 모시고 식사를 대접한다는 개념으로 예비 부부가 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중 예비 신랑쪽에서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요즘은 남녀가 반반 나누어 계산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는 합니다. 또는 한쪽에서 식사 비용을 내고, 한쪽에서 부모님들께 드릴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하네요. 여러 상황들을 봐서 조율해야겠지만, 사실 전체 결혼식 비용과 그 후 결혼 생활에 필요한 돈에 비하면 상견례 비용은 매우 적은 금액이기에 서로 얼굴 붉히는 부분 없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 식사 장소, 메뉴
기본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한정식입니다. 그 외에도 일식, 중식 등이 있겠지만 부모님이 네 분이시기에 참석인원 모두가 크게 거부감 없는 한정식으로 결정하는 것이 제일 일반적입니다. 또한 한정식 중에서도 코스요리를 많이 드시는데요. 자리가 자리이니만큼 분위기가 경직되기 쉬운데, 대화 중간 중간 식사가 들어오면서 한템포 쉬어갈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 저도 상견례 때 한정식 코스요리를 먹었는데, 사실 저희 아버지는 나와서 조금씩 먹으니 먹은 것 같지도 않다고 하셨어요. 이 부분도 예비 신랑신부가 각자의 부모님의 식성이나 기호, 성격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좋으며 크게 호불호가 갈리는 메뉴만 피하시면 됩니다.
식사 장소도 메뉴만큼이나 중요한데요. 기본적으로 룸이 마련되어 있는 식당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고, 너무 어둡거나 개성있는 장소의 분위기보다는 햇살이 비치는 단정한 장소를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자리가 입식인 것이 좋고 좌식인 경우 의자 등받이가 있는 곳인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대화 주제
상견례 자리에서 결혼식이나 혼수, 신혼집 등 많은 것들을 결정하는 것 같지만, 사실 그러다보면 서로의 의견 차이가 두드러질 가능성이 있고 첫만남에서 안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견례 자리에서 실질적인 부분들에 대해 의논하고 결정하기 보다는 미리 예비 부부가 각자의 부모님과 상의하고 서로 합의한 부분들에 대해 확인하는 자리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들끼리 아주 잘 통하는 경우에는 서로 술자리도 가지고 편하게 지내는 경우들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사돈이란 매우 어려운 관계이기에 최대한 예절을 지키며 만남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뷰어11 다운로드 쉬운 방법 (1) | 2023.03.09 |
---|---|
spss 체험판 다운로드 쉬운 방법 (0) | 2023.03.06 |
간편하게 전국지도 보기 고속도로 (0) | 2023.03.02 |
이름 한자 찾기 쉬운 방법 (0) | 2023.02.22 |
1년미만 퇴직금 지급기준 쉽게 알아보기 (0) | 2023.02.15 |
무료 바코드 생성기 간단히 만들기 (0) | 2023.02.09 |
한컴 타자 연습 무료설치하기 2023 (0) | 2023.02.01 |
컬러링 다운받는곳 SKT/KT/LG U플러스 통신사별 방법 (0) | 2023.01.31 |
댓글